글목록
2015. 2. 13.
Linux Command ( 32Bit or 64Bit Check )
1. # uname -m
x86_64
2. # uname -a
Linux willmedia 2.6.32-504.el6.x86_64 #1 SMP Wed Oct 15 04:27:16 UTC 2014 x86_64 x86_64 x86_64 GNU/Linux
3. # file /sbin/init
/sbin/init: ELF 64-bit LSB shared object, x86-64, version 1 (SYSV), dynamically linked (uses shared libs), for GNU/Linux 2.6.18, stripped
4. # arch
x86_64
2014. 5. 8.
2014. 3. 28.
2014. 3. 25.
Linux Command ( chown permissions )
chown [option] [user:group] [directory]
옵션 -R은 하위폴더까지 전부 권한 변경
chown -R user:group /usr/local/temp
2014. 2. 25.
Linux Command ( chmod permissions)
r w x
4 2 1
ex) 755
4+2+1, 4+1, 4+1 -> rwxr-xr-x
7 5 5
# chmod 644 [filename]
chmod + 하위폴더 까지 권한변경
# chmod -R 644 [filename]
2014. 2. 4.
Linux Command ( Su 사용자 제한하기 )
su 사용자 제한하기
> 계정생성시 자동으로 su 권한 막기
#groupadd ADMIN // 그룹을 만든다
#chgrp ADMIN /bin/su // su 명령어의 그룹을 ADMIN으로 설정
#chmod o-x /bin/ls // other 사용자들의 실행권한 삭제
#groupadd ADMIN // 그룹을 만든다
#chgrp ADMIN /bin/su // su 명령어의 그룹을 ADMIN으로 설정
#chmod o-x /bin/ls // other 사용자들의 실행권한 삭제
#usermod -G ADMIN test // test 사용자를 ADMIN 그룹에 추가하여 권한 부여
pam을 통한 su를 허락하기
/etc/pam.d/su 파일에서 아래와 같은 부분의 주석을 해제, 없는 경우 새로 입력
auth required /lib/security/pam_wheel.so group=wheel
usermod로 사용자 그룹 추가하기
ex) usermod -u uid -g group -G Group,... name
ex) usermod -u uid -g group -G Group,... name
특정 유저(wheel 그룹에 속한 유저)만 su 허락하기
> wheel 소유그룹 변경
chgrp wheel /bin/su
chmod 4750 /bin/su
chgrp wheel /bin/su
chmod 4750 /bin/su
# ls -la /bin/su
-rwsr-x--- 1 root wheel 95564 Feb 19 2003 /bin/su
-rwsr-x--- 1 root wheel 95564 Feb 19 2003 /bin/su
> wheel 그룹에 등록
# vi /etc/group
wheel:x:10:root,id
# vi /etc/group
wheel:x:10:root,id
wheel 그룹에 속한 유저만 su 가 가능
su를 허용할 유저를 /etc/group 의 wheel 에 추가하고 그룹을 wheel로 변경
su를 허용할 유저를 /etc/group 의 wheel 에 추가하고 그룹을 wheel로 변경
Linux Command ( 그룹생성 , 그룹생성확인, 그룹삭제 , 자기가 속한 그룹 확인 )
그룹생성
#groupadd kickingplay
그룹생성 확인
#grep kickingplay /etc/group
그룹삭제
#groupdel kickingplay
자기가속한 그룹 확인
#groups
Linux Command ( 사용자 추가하기 , 홈디렉토리 지정, 그룹에 추가 , 패스워드 지정 )
사용자 [추가]
# useradd kickingplay
사용자 [그룹지정] + [추가]
# useradd -g toplogic kickingplay
사용자 [홈디렉토리경로지정] + [추가]
# useradd -d /home/kickingplay kickingplay
사용자 [그룹지정] + [홈디렉토리경로지정] + [추가]
# useradd -g toplogic -d /home/kickingplay kickingplay
사용자 패스워드 지정
# passwd kickingplay
2014. 2. 3.
Linux Command ( tar로 압축하기, 압축풀기 )
*압축하기
tar [옵션] [압축 파일 이름] [압축하고자 하는 파일 or 디렉토리]
tar cvf test.tar test
*압축풀기
tar [옵션] [압축 파일 이름]
tar xvf test.tar
*tar.gz
tar는 압축을 하는 툴이 아니다 단지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모아주기만 한다.
만약에 압축을 하고 싶으면 옵션에 z를 넣고 파일 이름에 확장자를 tar.gz로 한다. (그냥 tar로 해도 상관은 없다..)
-z옵션은 GNU tar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이다. (리눅스는 GNU tar를 사용한다)
- 압축하기
tar zcvf test.tar.gz test
- 압축풀기
tar zxvf test.tar.gz
tar [옵션] [압축 파일 이름] [압축하고자 하는 파일 or 디렉토리]
tar cvf test.tar test
*압축풀기
tar [옵션] [압축 파일 이름]
tar xvf test.tar
*tar.gz
tar는 압축을 하는 툴이 아니다 단지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의 파일로 모아주기만 한다.
만약에 압축을 하고 싶으면 옵션에 z를 넣고 파일 이름에 확장자를 tar.gz로 한다. (그냥 tar로 해도 상관은 없다..)
-z옵션은 GNU tar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이다. (리눅스는 GNU tar를 사용한다)
- 압축하기
tar zcvf test.tar.gz test
- 압축풀기
tar zxvf test.tar.gz
2013. 11. 15.
2013. 11. 11.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